728x90

모살용접이란? (Fillet Welding)
1. 정의
- 목 두께 방향이 모재의 면과 45°의 각을 이루는 용접 방식으로, 가공성과 경제성이 뛰어납니다.
- 현장 용접에 유리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2. 모살용접의 기본 형태
- 겹친이음(Lap Joint)
- 현장 용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접합 부재 맞춤과 가공이 쉽습니다.
- T형이음(Tee Joint)
- 조립 평판보에서 플랜지와 웨브 이음, 웨브와 스티프너 이음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 모서리이음(Corner Joint)
- 상자형 단면의 모서리 부분을 접합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 단부이음(Edge Joint, 끝동이음)
- 구조적으로 사용되는 일은 거의 없고, 부재의 가접합에 많이 사용됩니다.
3. 모살용접의 형식
용접 접합하고자 하는 부재면과 목 두께 방향 축의 각도가 45°를 이루는 형식으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입니다. 조립보나 스티프너를 접합할 때, 두 개 이상의 부재 각도가 90°를 이루게 됩니다. 이는 목 두께 축과 45°를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맞댄용접이란? (Butt Welding)
1. 정의
- 접합재의 끝을 적당한 각도로 개선하여, 서로 접합 부재를 맞대어 홈에 용착 금속을 용융하여 접합하는 방식입니다.
- 구조재들을 동일 평면에서 접합하는데 사용되며, 보통 접합하는 부재의 전 하중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용접 강도가 부재 강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2. 맞댄용접의 개선부 형태
맞댄용접의 개선부(Groove) 형태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맞댄용접의 종류
- 완전용입 맞댄용접
- 접합부 전면에 용착 금속을 완전히 녹이는 접합으로, 맞대는 부재의 전체 단면이 완전하게 용입되도록 용접합니다.
- 부분용입 맞댄용접
- 용접할 부재의 단면을 전부 용접하지 않고 일부분만 용착시키는 용접입니다.
맞댄용접과 모살용접의 차이점
맞댄용접과 모살용접은 모두 철골 공사에서 많이 쓰이는 용접 방식입니다. 맞댄용접은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이어줄 때 사용되며, 모살용접은 L자형, 十자형으로 부재를 연결할 때 적용됩니다.
완전용입 vs. 부분용입
완전용입은 부분용입에 비해 용접부 강도가 높습니다. 부분용입은 완전용입보다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개선부 자체의 폭이 적기 때문에 전단력과 모멘트에 대한 저항성이 완전용입에 비해 낮습니다.
'구조 > RC, STEEL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 정착길이와 후크길이: SD400 HD25 철근을 예시로 (0) | 2024.06.08 |
---|---|
철골공사에서 기둥 정착 방법: FIX 조건과 PIN 조건 및 전단력과 모멘트 전달 (1) | 2024.06.08 |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따른 A급, B급, C급 이음의 차이와 비교 (0) | 2024.06.07 |
합성보(Composite Beam)란? (1) | 2024.06.07 |
콘크리트 폭렬현상 이해하기 (0)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