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고강도 치밀한 콘크리트는 수증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압력이 증가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이 폭발하듯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폭렬현상'이라고 합니다.


1. 폭렬현상 정의

폭렬현상은 압축 강도가 높고 내부 조직이 매우 치밀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화재가 발생했을 때, 내부의 수증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고 압력이 계속 증가하여 인장강도를 초과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이 폭발하듯 깨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2. 폭렬현상 메커니즘

  1. 고강도 치밀한 콘크리트 내에서 화재 발생
  2. 콘크리트 온도 상승
  3. 수증기압 증가
  4. 수증기압이 인장강도를 초과
  5. 콘크리트 표면 박리 및 박락 (폭렬현상)

3. 발생 원인

  • 함수율이 높은 골재와 재료 사용
  • 치밀한 조직
  • 밀실한 표면 마감
  • 높은 화재 온도 지속

4. 방지 대책

  • 폴리프로필렌(PP)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사용
  • 메탈라스(Metal Lath) 사용하여 폭렬 저감
  • 적절한 W/C(물/시멘트) 비율 준수
  • 스프링클러 등 소화 시설 설치
  • 내화 페인트 시공 (내화구조성능 기준 확보)
  • 방화 구획 설정
  • 혼화재료 사용하여 폭렬에 대응

5. 폭렬현상과 팝아웃 현상 비교

폭렬현상과 팝아웃 현상은 모두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문제이지만, 원인과 결과가 다릅니다.

폭렬현상:

  • 발생 원인: 고온의 화재로 인해 내부 수증기 압력이 증가하여 발생.
  • 결과: 콘크리트 표면이 폭발하듯 깨지면서 박리 및 박락 현상이 발생.

팝아웃 현상:

  • 발생 원인: 주로 함수율이 높은 골재가 동결 또는 팽창하면서 콘크리트 표면을 밀어올려 발생.
  • 결과: 콘크리트 표면에 작은 구멍이나 돌출부가 생기는 현상.

화재 발생 시 콘크리트 파손 깊이

폭렬현상은 주로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며, 화재로 인한 구조적 손상과 큰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방화 구획, 소화 시설 구비, 내화 페인트 등을 시공하여 사전에 폭렬에 대응해야 합니다.


결론

폭렬현상은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화재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축물의 안전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꾸준한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 Recent posts